최소가지 차이와 베베의 법칙으로 마케팅 응용
마케팅으로 응용이 가능한 최소가지 차이와 베베의 법칙을 사례를 비교하면서 살펴보자. 그리고 소비자가 기업의 마케팅을 이해하고 질 좋은 소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면 좋겠다.
함께 읽으면 좋은 심리글
1. 최소가지차이
두 자극 사이의 차이를 식별할 수 있는 최소 강도 차이를 최소가지차이라고 말한다. 사람이 느끼기 힘들만큼의 아주 작은 차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2. 베버의 법칙
자극을 받고 있는 감각기에서 자극의 크기가 변화된 것을 느끼려면 처음에 약한 자극을 주면 자극의 변화가 적어도 그 변화를 쉽게 감지할 수 있으나 처음에 강한 자극을 주면 자극의 변화를 감지하는 능력이 약해져서 작은 자극에는 느낄 수 없으며 더 큰 자극에서만 변화를 느낄 수 있다는 법칙이다.
3. 마케팅에서의 응용
1) 화장품 마트용 vs 백화점용
화장품을 개발하고 만드는 제조사는 동일하지만 마트용 백화점용 그리고 연령대별로 다양하게 분류를 한다. 특히 마트용, 백화점용의 경우 안의 실질적인 재료는 크게 차이가 없다고 한다. 정말 피부에 좋다고 하는 귀한 재료를 최소 가지 차이의 만큼만 함량 시키고 광고나 포장용기 그리고 브랜드명은 고급스럽게 하여 마트용(저가용) 화장품과는 엄연히 다른 것처럼 한다.
하지만 9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기본 재료들은 거의 비슷하다고 한다. 소비자가 겉 포장과 광고에 현혹이 시켜 작은 함량과 기본 재료는 제대로 보지 못하고 스스로가 훨씬 좋은 화장품을 구입했다고 생각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모레퍼시픽을 보면 많은 종류의 브랜드 이름을 가지고 있다. 로드샵 화장품부터 시작해서 해외로 뻗어나가는 고가의 화장품까지 우리는 그들이 하는 광고에 주안점을 두고 화장품 용기의 뒷면을 보지 못한다. 이러한 마케팅이 화장품 업계의 호황을 가져온 건 아닐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2) 하이트 맥주 vs 하이트 프라임 맥주
관세가 낮아지면서 쏟아지는 수입 맥주로 인해 한국의 맥주 시장은 치열할 것이다. 하지만 마케팅 기법을 효과적으로 사용하는 있는 것으로 보인다. 하이트 맥주와 하이트 프라임 맥주의 맛의 차이보다는 더욱 확실하게 알 수 있는 차이는 알코올 도수라고 한다.
하지만 광고는 '재료와 제조 과정이 확연하게 다르기에 맥주 맛이 좋다', '천연 암반수로 만들었다 '등의 화려한 광고로 사람들을 현혹시켜 하이트 프라임 맥주를 소비하도록 한다. 그러나 알코올 도수의 차이는 최소 가지 차이로 최소로 식별을 가능하기에 두 개의 맥주가 맛이 다른 것이 알코올 도수라는 것을 알아차리기 힘들며 그저 광고에서 했던 말들로 인해 맛이 좋다고 생각을 할 수 있다. 또한 비싼 맥주를 먹는 자신이 좋고 남에게 과시하기도 좋을 수 있다.
3) 가격은 유지 양은 감소
요즘 마트를 가면 양 대비 가격이 얼마인지 그럼 1그램에 가격이 얼마인지 따지게 된다. 기업들이 가격을 올리는 것이 부담스럽고 정부의 눈치 등 제품의 이미지에 타격을 입을까 봐 망설여한다. 하지만 그들은 이윤과 이익을 남겨야 하기에 우리가 최소 가지 차이로만 느낄 수 있는 정도의 양을 줄이는 것이다.
우유 같은 경우도 항상 1리터로 나오던 것이 잘 팔리지 않아 재고품이 쌓이고 있어도 절대 가격을 내리지 않는다. 그들의 자존심인지 알 수는 없지만, 그러다 우연히 싼 것을 발견해 구매하고자 하면 900리터 인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이때 소비자는 더 배신감을 느낀다는 것을 모르는 거 같다.
여하튼 깐깐하고 예민한 소비자가 아니면 알 수 없는 정도의 양을 줄이고 가격은 그대로 하는 마케팅으로 우유 업계도 그런대로 버티고 있는 거 같다. 뉴스에서 버려지는 우유가 엄청나다고 했는데도 가격을 내리지 않는 것을 보면...
4. 결론
최소 가지 차이와 베버의 법칙으로 응용된 마케팅을 조사하다 보니 더욱더 소비를 할 때 깐깐하고 비교 분석해서 해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화려한 광고나 모델이 현혹되기보다 양과 재료를 좋은 것을 사용했는지 그 기업의 마인드와 행태는 어떠한지 등을 알고 구매하는 것이 바람직하게 보인다.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심리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학교 1학년 시기에 갖는 자유학기제란 무엇이고 장단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기 (0) | 2021.12.18 |
---|---|
심리학에서 나오는 다양한 방어기제 중 동일시를 알아보기 (0) | 2021.12.18 |
남녀 간의 성차와 사례 (0) | 2021.12.14 |
밀착된 가족에서 나타나는 10대 자녀 반항 증상 의미 (0) | 2021.12.14 |
기본정서이론, 차원이론, 성분과정이론의 차이점 논의와 비판 (0) | 2021.1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