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심리학에서 나오는 다양한 방어기제 중 동일시를 알아보기

 

동일시란?

- 부모, 윗사람 등 중요하고 밀착되어 있는 인물들의 태도와 행동을 자기 것으로 만들면서 닮는 것을 뜻한다.

- 동일화는 자아와 초자아의 형성에 가장 큰 역할을 하며 성격발달에 가장 중요한 방어기제이다. 가장 먼저 만나게 되는 부모와의 동일화가 먼저 시작될 것이다. 하지만 완벽하게 동일화가 되지는 못한다. 왜냐하면 모든 부모에게 인격적인 결함이 있고 아이의 외부적인 환경과 경험이 다양하기 때문이다.

- 동일화는 비의식에서 의식으로 가는 과정이며, 그 동기는 대상이 갖고 있는 힘을 자기 것으로 하려는 갈망이다.

 

가족

 

 

- 동일화에는 몇 가지 형태를 지니고 있다. 첫 번째 적을 모방하거나 금지된 대상과의 동일화이다. 나치의 히틀러 유겐트들은 나치 군대의 잔인성을 동일화하였다. 잔인성은 올바르지 못한 것을 알지만도 그것이 지닌 힘에 의해 동일화가 일어날 수 있다. 두 번째 공격자와의 동일화이다. 두렵거나 공포의 대상과 동일화하여 자신을 보호하는 방법이다. 즉 그 대상에 대한 불안을 방어하기 위함이다. 세 번째 성격, 병적 동일화이다. 힘이 있고 권력이 있는 자와 동일화하여 그 자가 갖고 있는 힘을 누려 보고자 하는 자아의 시도이다. 예로 독재자에게 아부하는 정치꾼들, 남의 작품을 기막히게 묘사하는 예술인들, 신흥 종교의 광신도 등이 있다, 네 번째 공감이다. 공감의 경우 비교적 성숙하고 융통성 있고 여유 있는 인격자가 가지고 있는 능력이다. 공감은 타인의 생각이나 감정을 내 것처럼 느끼는 현상인데 독립성과 주체성을 유지하는 것이 참으로 중요하다.

 

 

특정인과 동일화

 

 

- 한 사람의 심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그 사람이 사랑하는 사람, 이상으로 삼는 사람, 자신이 닮았다고 생각하는 사람, 절대로 비슷해지지 않으려고 노력했던 사람들이 누구였는지 아는 것이 중요하다. 왜냐면 인간의 행동과 태도는 대부분 동일화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 동일시를 평가하는 가장 빠른 방법은 전이 반응의 전반적인 느낌을 감지하는 것이다. 전이는 상대방의 상태가 나에게 전달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만남에서 따뜻한 느낌의 사람이라며 그 사람은 따뜻함을 지닌 사람과 동일시하고 있을 수도 있다. 반대로 날카롭고 의심이 많고 회의적인 느낌을 지닌 사람은 그런 사람과 동일화를 하고 있을 수도 있다는 뜻이다.

- 동일화가 일어나는 과정은 모든 가정과 문화에서 동일한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다. 반면 동일화의 과정은 긍정적일 수도 있고 문제가 있을 수도 있다. 초기 내면화는 전 언어적이고 자동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에 이 시기에 내면화가 부정적으로 이루어지면 왜곡된 성격을 지닐 수도 있다. 그것이 향후 치료를 방해하는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딸과 엄마의 동일화

 

 

- 개인이 정체감을 어떻게 발달시키는지에 대해 이해하고자 하면 할수록 동일화 과정이 상호적임을 잘 알 수 있다. 유아는 어머니의 특성을 취하고, 어머니는 자기 아이에 적응하여 바뀌어가고, 다시 아이는 바뀐 엄마를 내면화하는 과정이 반복되는 것이다.

- 모두가 동일화가 되는 건 아닐 수 있다. 역동일시가 우세한 경우도 있다. 상황에 굴복하라는 내적 압력을 극복하고 자존감을 지킬 수 도 있는 것이다. 그러나 역동일 시는 너무 전체적이고 견고하여 타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기도 하다.

- 민족, 종교, 인종, 문화 및 하위문화와 관련된 동일화가 있다. 다양성의 문제가 훨씬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요즘은 개개인의 이런 부분에 대한 동일시를 잘 이해해야 한다.

- 개인적 동일시가 어떤 의미를 지니고 그것으로 인해 어떤 치료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 Recent posts